목회/장례

[스크랩] 장례예배

한마음 새생각 큰믿음 2011. 1. 17. 20:40

1. 임종 예배

1) 임종예배란 의사의 진단, 또한 상황판단 여하에 따라 운명이 가까워졌다고 생각되었을 때, 가족과 친지들이 한자리에 모여 운명 직전에 있는 사람의 영혼 안위를 위하여 목사님 집례 아래 드리는 예배를 말하는데, 상황에 따라서는 수시를 거둔 다음 고인의 시신을 흰 홑이불을 덮고 드릴 수도 있으며, 병원 안치실에 모신 다음, 빈소를 차린 후 드리기도 한다.

2) 예배 순서

(1) 묵도(2) 기원(말씀봉독)/ 사도신경(신앙고백)

(3) 찬송(607장)(4) 성경봉독

(5) 설교(위로의 말씀으로 간단히) (6) 기도

(7) 찬송(489장)(8) 광고(장례일정 등)(9) 축도/주기도문

3) 설교 본문과 요약

본문 :시90, 히9:27, 사57:1~2, 창3:19, 요14:1~6

요약 :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시되 육체와 영혼을 지으셨다.

4) 기도문 :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장하시는 하나님 아버지! 이 시간에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직분)을 기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직분)의 마음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든든히 붙잡고 의지하는 믿음을 주시어 하늘나라의 영원한 소망을 갖고 기쁨이 충만하게 하옵소서. 저의 영혼이 주의 품에 안길 때까지 악령일체 틈타지 못하게 하시고, 사랑하는 ○○○(직분)의 영혼을 천군천사로 지켜 주시고 보호하시며,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여기 모인 가족들과 성도님들에게도 주의 위로하심과 풍성한 은혜를 내려 주시옵소서.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2. 입관 예배

1) 입관예배란 상례절차를 따라 돌아가신 분의 시신을 관에 모시고 봉하기 전이나 후에 (결관해도 무관)드리는 예배를 말한다. 따라서 이 때는 남은 유족, 친지들과 돌아가신 분이 삶과 죽음 사이에서 뚜렷이 구별되는 때이며, 죽음과 이별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인간 존재의 의미와 목적, 그리고 인생의 방향에 대하여 되새겨 볼 수 있는 계기도 되는 것이다.

2) 예배 순서

(1) 예식사(2) 묵도(말씀봉독)/사도신경(신앙고백)

(3) 찬송(480장)(4) 성경봉독

(5) 설교(또는 위로의 말씀)(6) 기도

(7) 찬송(491장)(8) 광고(장례일정 등)

(9) 축도/주기도문(10) 폐회

3) 설교 본문과 요약

본문 :요 14:1~6, 고후5:1~10, 계14:12~13, 시84:10~11, 계19:8

요약 : 이스라엘 백성은 출애굽하여 황량한 광야에서 장막생활을 했다. 그들의 장막이 생존권을 보호하고 그들이 삶에 유익을 제공함같이, 육체를 장막으로 비유하고 있다. 인간이 흙에서 태어났기에 흙으로 돌아가 육신이 묻히는 것은 인생의 한 과정이다. 육신은 무거운 짐, 괴로운 짐을 벗어 버리고 흙으로 돌아갔지만 그의 영혼은 주인되신 하나님을 찾아 영원한 처소인 하늘나라에 가 평안과 안식에 이르른 것이다. 땅에 있는 장막집은 육체를 가리킨 말로 괴로운 집이요, 탄식의 집이다. 영원한 집은 부활의 몸을 가리킨 말로 소망의 집이요, 기쁨의 집이다. 영원한 집은 하나님이 지으신 집이요, 하늘의 처소이다. 그러므로 영원한 집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만 갈 수 있는 집이다.

4) 기도문 : 자비로우신 하나님 아버지! 아버지의 섭리에 순종하여 엄숙히 머리를 숙였습니다. 모든 인생은 풀과 같고 그 영광은 풀의 꽃과 같아서 시들고 말라 버리고야 말 존재임을 아오나 막상 그 생명이 떠난 유해 앞에 서니 슬픔을 금할 수 없습니다. 영원하신 하나님 아버지! 우리는 고인의 시신을 장사하기 위해서 이 관에 모시오나, 그의 영혼을 아버지 품속에 고이 품어 주시옵소서. 위로의 하나님께서 슬퍼하는 유족들과 여기 모인 무리에게 위로해 주시고 긍휼과 자비를 베풀어 주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니다. 아멘

3. 발인 예배(장례예배)

1) 발인예배는 입관되어 있는 돌아가신 분의 유해가 장지로 떠나기에 앞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추모 및 하나님께 대한 위탁의 의미로 드리는 예배로, 이때 영결이라는 용어는 쓰지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기독교의 장례예배는 부활신앙을 기초로 재회를 보장받고 있기 때문이다.

2) 예배 순서

(1) 예식사(2) 묵도/사도신경(신앙고백)

(3) 찬송(606장 이나 480장)(4) 교독(교독문46/새78)

(5) 기도(맡은이)(6) 성경봉독

(7) 조가 (맡은이)(8) 약력낭독(별세한 이의 약력을 미리 준비)

(9) 설교(10) 기도(11) 찬송(489장이나 493장)

(12) 인사 및 광고(장례위원장)(13) 축도/주기도문(14) 헌화

(15) 출관(이제 영구를 장지로 발인하겠습니다. 이상으로써 삼가 고별의 예를 마칩니다.) 출관순서는 영정(사진)/집례자, 영구, 상주, 친족, 문상객 순이다.

3) 설교 본문과 요약

본문 :히11:13~16, 벧전1:13~25, 벧전2:11~12, 계21:1~4,

요17:9~13, 요19~30. 요 11:25~26, 고전15:42~44

요약 : 인생은 나그네의 길이다. 누구든지 이 세상에서 출생한 자라면 한 번은 세상을 떠나야 하는 나그네이다. 그래서 이세상에서 생활도 일정한 삶의 정착지가 없어 이고 저곳으로 거처를 옮겨 산다, 그리고 목숨이 다하면 자기가 출생한 고향으로 돌아간다. 이는 육신이 흙에서 낳기 때문이다. 그런데 나를 낳아주고 길러주신 사랑하는 부모님이라 할지라도 이 세상을 떠날 때 그 시신을 5일 이상 집안에 모실 수 없다. 다시 만날 수 없는 기약없이 그동안 정들었던 가정, 사랑하는 가족 곁을 떠나야만 하는 안타까움과 괴로움이 유족을 슬프게 한다. 그러므로 인간들의 만남이란 완전하지 못하다.

4) 기도문 : 사랑과 은혜가 풍성하시며, 영원히 변치 아니하시는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 지금 우리들이 이곳에 모여서 이 세상을 먼저 떠나 아버지 앞으로 가신 ○○○(직분)의 장례식을 거행하려고 하오니 아버지께서 은혜와 사랑으로 인도하여 주시옵소서. 거룩하신 하나님 아버지! 우리는 ○○○(직분)이 세상에 있을 때에 아버지께서 크신 능력으로 지켜주시고 사랑의 손으로 인도하시어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어 영원한 후사가 되게 하여 주심을 인하여 감사를 드립니다. 원하옵기는 이 장례가 아버지의 은혜 가운데 이루어져 이로 말미암아 그의 유족과 친척들이 큰 위로를 받게 하옵시고, 이곳에 모인 우리도 하나님의 엄숙하신 교훈을 배우고 죄를 뉘우치는 것과 주님을 믿고 의지하는 믿음이 더욱 굳세게 하여 주시옵소서.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하옵나이다. 아멘!

 

4. 하관 예배

1) 하관예배는 장지에서 관을 뭍기 전에 드리는 예로써 하관과 더불어 취토순서를 통해 분묘를 이루는 예식까지 함께 포함한다. 예배 인도자는 하관예배를 통해서 돌아가신 분이 신자인 경우 그의 영혼을 하나님께 의탁하고, 불신자의 경우는 주로 유족들의 안위와 신앙을 위한 위로와 권면의 내용으로 예배를 준비한다.

2) 예배 순서

(1) 묵도(성경말씀봉독)/사도신경(신앙고백)(2) 찬송(479장)

(3) 성경봉독(4) 설교

(5) 기도(6) 찬송(480장)(7) 인사/광고(유족중)

(8) 축도 / 주기도

(9) 선고/취토 (집례자 ~ 유족 ~ 조문객 순으로)

집례자가 흙을 한줌 관위에 3번 던지며 선고한 후 취토토록 한다.

① 故○○○(직분)의 영혼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가 이미 하나님께로 돌아갔은 즉 ② 우리가 그 시신을 땅에 장사하며 흙은 흙으로 재는 재로, 티끌은 티끌로 돌아갈 지라도 ③ 말세에 뭇 성도가 일제히 부활하여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내세의 영생을 얻을 것입니다. 아멘!

* 취토 중에 성도들을 찬송들을 부르도록 한다.

3) 설교 본문과 요약

본문 :고전15:35~49, 15:50~58, 요 11:25~27, 불신자/눅16:29~31

요약 : 주님께서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무릇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리라(요11:25~26)고 말씀하심으로 사람이 육체의 죽음이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몸의 부활이 있음을 말씀하셨다.

4) 기도문 : 거룩하신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지금 고○○○(직분)의 하관예배를 드립니다. 그는 일찍이 세상에 와서 하나님을 믿고 자기의 본분을 다하다가 하나님께로 돌아갔습니다. 사람이 세상에 왔다가 세상을 떠나가는 것을 누가 피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나 그의 시신을 땅에 장사하게 될 때에 육신의 섭섭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사람이 세상에 와서 자기의 할 일을 다하고 세상을 떠나 육신은 땅에 장사지내지마는 그의 영은 하나님께로 간 것을 믿고 위로를 받습니다. 흙은 흙으로 돌아가고 영은 하나님 앞에 가는 것을 다시 기억하게 하여 주시옵소서. 이 시간에 둘러서 있는 고인의 유족들에게 함께 하여 주시고 위로하여 주셔서 소망을 갖게 하여 주옵소서. 고인이 살았을 때보다 더욱 마음과 뜻과 힘을 합하여 하나님을 공경하며 모범적 가정이 되며, 믿음과 소망과 사랑 안에서 사는 가정이 되게 하여 주시고, 이 자리에 있는 우리들도 예수님의 재림하실 때에 부활할 것을 믿게하여 주시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5. 위로예배 및 추도예배

1) 위로예배의 설교본문과 요약

본문 :딤후4:7~8, 고후1:3~7, 빌3:13~17, 요삼2~4, 고전10:14~22,

시23편, 시73:28, 시103:15~18, 사41:10, 호6:1~3

요약 :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이땅에서의 복을 주셨는데 자손의 번성함이다. 이는 자손을 통하여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부모가 있으므로 자손이 있는 것처럼 영의 아버지 되신 하나님이 영원전부터 계시다.

2) 추도예배의 설교본문과 요약

본문 :유1:20~22, 계21:1~7, 고전10:14~22, 요삼2~4, 고전11:25,

시84:5~7, 시84:10~11

요약 : 신앙생활이란 계약적인 관계인데 하나님의 약속과 성도의 믿음의 조화이다. 독생자 예수

 

6. 참고할 설교의 내용

1) 성도의 죽음은 출생하는 날보다 나은 죽음이다(전7:1~4).

2) 성도의 죽음은 여호와께서 귀중히 보시는 죽음이다(시116:12~16).

3) 성도의 죽음은 주안에서 죽는 죽음으로 복된 죽음이다(계14:13).

4) 성도의 죽음은 수고를 그치고 편히 쉬는 죽음이다(계14:13).

5) 성도의 죽음은 의인의 죽음으로 소망이 있는 죽음이다(벧전1:3~4).

6) 성도의 죽음은 영원한 생명으로 다시 살기 위한 죽음이다(요11:25~26).

7) 성도의 죽음은 주로 말미암아 승리하는 죽음이다(고전15:54~58).

8) 성도의 죽음은 새몸으로 덧입기 위한 죽음이다(고후5:1~4).

9) 성도의 죽음은 주님이 깨우실 때까지 자는 죽음이다(살전4:13~18).

10) 성도의 죽음은 저희 행한 모든 일이 따르는 죽음이다(계14:13).

 

7. 찬송가와 새찬송가의 장례찬송 : 찬송가(289~295장), 새찬송가(606~613장)

출처 : 오동석목사
글쓴이 : 오동석목사 원글보기
메모 :